 |
수송열 |
+ |
 |
수송시 각종 환경스트레스를 받은 후 파라인플루엔자III나 파스튜렐라 등의 2차 세균 감염이 원인
호흡기 증상이 위주, 심한 침울과 식욕절폐, 수척, 체온은 정상 혹은 약간 상승
수송전에 전해질이나 당분을 충분히 급여하여 스트레스에 대비. 시프로틸, 롱펜실린, 세파졸 등으로 2차 세균 감염 예방 및 치료, 플럭시민으로 해열
관련제품
시프로틸, 롱펜실린, 세파졸, 플럭시민
|
 |
소 합포체성 폐렴 |
+ |
 |
– 원인체
소 합포체성 바이러스로 우리나라에서 많이 발생하는 호흡기 질병임.
– 전파경로
대부분 접촉에 의해 일어나지만 공기를 통한 전파나 사료, 음수에 의해서 전파되기도 함.
겨울철에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3개월령에서 12개월령 사이에 주로 발생.
– 증상
증상은 매우 다양하여 무증상이거나 준임상형, 심한 임상증상을 나타냄.
감염초기에 식욕부진, 장액성 또는 점액성 비루를 보이며 유연, 호흡촉박, 눈물, 40~41℃의 고열을 나타냄.
감염후반기에 개구호흡과 포말성 유연, 목부위의 피부가 부어 오름.
심한 증상을 나타내는 개체는 코로 호흡을 잘하지 못하므로 물을 삼키지는 못함.
세균이나 다른 소 호흡기 질병 등과 복합감염되면 더 심한 증상을 나타내고 폐사율도 더 높음.
– 치료 및 예방
특별한 치료제 없음.
예방은 백신접종하고 차단방역이 최선의 방법.
세균에 의한 2차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항생제 투여하고 대증요법 실시
관련제품
* 항생제 : 옥시벳-LA, 이글타이로신-200주
* 보조치료제 : 헤파비타 주, 플럭시민 주
* 소독제 : 터미네이터
|
 |
마이코플라즈마성 폐렴 |
+ |
 |
Mycoplasma 속 및 Ureplasma diversum의 감염에 의한 송아지에서 다발하는 만성폐렴이다. 일반적으로 이들 균의 감염에 의해서는 무증상경과 또는 경증으로 경과하는 경우가 많으나 스트레스 또는 2차적으로 다른 미생물의 감염에 의해서 감염우에서 현증화하거나 또는 폐사하게 된다.
– 병인체
Mycoplasma bovis 등 4가지의 원인균이 관여
집단사육하는 우군에서 많이 발생하며 연령별에 따른 감수성 차이가 뚜렷함.
– 전파경로
사양 환경의 변화, 다두 사육에 따른 밀사와 환기불량, 부적절한 보온관리, 심한 일교차
수직전파와 직접접촉, 비말이나 기침 등 공기감염에 의한 수평전파
– 증상
감염우에서 발열이나 관절염
2차적인 감염에 의해 고온(41℃)의 발열과 원기상실, 식욕절폐, 피모의 광택 소실
농양의 비즙과 완고한 기침
만성화되면 천명과 신음
M. bovis 감염우에서는 폐렴과 파행증상
부검소견으로는 병변주가 소엽성의 폐기종이나, 무기폐부에 건강한 소엽이 혼재
– 치료 및 예방
수송이나 한냉, 환기부진, 다습 등에 의한 스트레스를 제거
바이러스나 다른 세균성 원인체에 대한 예방약 접종
감염초기에는 항생제 투여가 효과적, 발생전후에 항생제 투여하여 예방
사양환경의 개선, 스트레스 발생요인 제거
관련제품
항생제 : 아목사실린 산, 이글 타이로신 200주, 옥시벳-LA
소독제 : 터미네이터, 산졸
|
 |
파스튜렐라 폐렴 |
+ |
 |
소 파스튜렐라 폐렴은 국내뿐만 아니라 미국, 서유렵 등 여러 나라에서 소호흡기 질병으로 가장 중요한 질병으로 경제적 손해를 크게 입히며 국내에서도 수송열의 원인체 뿐만 아니라 다두집단사육에 의한 파스튜렐라폐렴의 원인체로 소개되어 왔다.
이 질병은 장거리 수송, 아유, 제각, 기후의 급변, 사료의 교체, 사양 조건의 악화와 같은 여러 가지 스트레스인자들과 바이러스 및 세균의 감염 등의 의해서 복합적으로 발생되는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
– 원인체
Pasteurella haemolytica A1
Pasteurella multocida type A형 – 국내에서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음.
Pasteurella haemolytica leukotoxin
– 전염경로
수직전파, 직접접촉 또는 비말이나 기침 등 공기 감염에 의한 수평전파
초유급여 부족시, 장거리 수송, 사양 환경의 변화, 다두사육에 따른 밀사, 환기불량, 부적절한 보온관리에 따른 온도차
– 복합증상
임상증상
– 초기에는 침울, 식욕감퇴, 기침
– 질병이 경과시 발열, 비강에서 삼출물 배출
– 기관지 호흡, 과호흡, 체온증가
부검소견
– 폐병변은 양측성
– 전복측 폐엽에서 시작되고 폐장의 1/3 또는 그 이상이 경화
– 비염, 부비감염, 후두염, 섬유소성흉막염, 섬유소성폐렴이 동반
– 흉막은 섬유소성 삼출물
– 기관지는 섬유소, 점액, 혈액응고물, 농 등 절단면은 출혈, 경색, 괴사
– 예방 및 치료
임상증상 발현후 즉시 효과적인 항생제 요법을 12시간 간격으로 48시간 실시
안식처, 영야 및 관리 실시
우군 또는 송아지 장거리 수송시 주의
이유, 거세, 제각 등 스트레스 이전에도 백신 접종실시
예방으로는 백신접종이나 사전 항생제 투여
관련제품
항생제 : 아목사실린산, 이글타이로신200주, 세파졸주, 팍프림 주
보조치료제 : 플럭시민 주, 헤파비타 주, 비테이드 주
소독제 : 터미네이터, 산졸
|
 |
송아지 디프테리아 |
+ |
 |
송아지의 구강, 인후두에 괴사병소를 형성하는 전염병이며 병변이 구강에만 국한된 것을 괴사성 구염, 그리고 병소가 인후두에 형성된 것을 괴사성 후두염이라 편의상 구별한다. 두가지 형은 각각 또는 동시에 한 개체에서 발병될 수 있다.
– 발생 및 원인
모든 종류의 품종에 발생하며 1/2∼2년령 사이의 송아지에 많다. 계절적으로는 가을과 겨울철과 관계가 있으며 뾰족한 치아, 거칠은 사료, 이물등에 의한 점막의 상처를 통해서 푸조박테리움 네크로포룸(Fusobacterium necrophorum)이 점막내로 침입함으로써 특이한 병변을 일으킨다.
– 증상
괴사성 구염 : 갑작스러운 발병과 함께 약 40℃의 체온상승, 식욕감퇴, 침울 등이 나타나나 증상은 가벼운 편이다. 볼이 부어 있고, 숨을 내쉴 대 악취가 나며 입을 벌려 검사하여 보면 볼점막 또는 혀의 주위 점막에서 궤야 (직경 0.5∼2㎝)을 쉽게 볼 수 있다.
괴사성 인후두염 : 앞의 형에 비해서 심한 증상을 나타난대, 체온상승(40∼41℃), 식욕절폐, 침울, 호기시 악취등의 증상과 더불어 기침과 콧물등이 보이며 특히 숨을 들어쉴 때 곤란을 느끼며 코를 고는 소리등이 나타난다. 심한 경우에는 후두가 완전 폐쇄되어 질식 사망한다.
– 치료
예방은 평소의 위생적인 관리, 환축의 격리등이 다소 도움이 된다.
관련제품
항생제 : 아목사실린산, 이글타이로신200주, 세파졸주, 팍프림 주
보조치료제 : 플럭시민 주, 헤파비타 주, 비테이드 주
소독제 : 터미네이터, 산졸
관련제품
치료제 : 세파졸 주, 아목사실린 200주
보조치료제 : 헤파비타주, 비테이드 주
|
 |
전염성비기관지염 |
+ |
 |
– 원인체
전염성비기관지염 바이러스임.
실온에서 약 1주일 후에도 바이러스의 역가는 떨어지지 않음.
– 전파경로
주로 직접접촉, 교미시 감염되기도 함.
발병한 소의 비즙, 눈물, 또는 생식기의 분비물에서 지속적으로 바이러스 배출
폐사율은 큰소보다 송아지가 더 높다.
– 증상
호흡기(비기관염)형, 유산형, 외음질염 및 자궁내막염 및 피부염 및 뇌수막염형이 있음
[호흡기형(비기관염)형]
ㆍ가장 빈번히 나타나며 집단사육시 다발
ㆍ40℃-41℃의 고열, 원기소실, 식욕부진, 눈물, 침흘림, 점액, 농양, 콧물 등을 보임.
ㆍ비점막에 충혈, 농포성 과립, 치즈양 위막 또는 궤양 등이 보임.
[유산]
ㆍ임신 4-7개월의 소에 감염되면 감염후 2주에서 3개월 사이에 2-20%의 유산이 일어남.
ㆍ유산우의 약 50% 후산정체
ㆍ유산된 태아는 육안적인 증상없으나 어미소는 비기관지염이나 각막염, 결막염, 외음질염 등의 증상 나타냄.
[외음질염 및 자궁내막염]
ㆍ암소에서 외음부의 발적 종창, 질점막의 충혈, 점액농양삼출물, 위막궤양 형성
ㆍ자궁내막염 수반
ㆍ수소에서는 귀두, 포피, 음경의 충혈 종창 및 궤양 등 나타냄.
[피부염 및 뇌수막염]
ㆍ피부에 1cm 정도의 농포 또는 수포 발생
ㆍ발적 종창을 형성하는 피부염
ㆍ수막뇌염의 경우 4-6개월령에 비즙, 눈물, 호흡곤란에 이어 흥분 혼수상태 및 시력장애 등의 신경증상 수반하여 1주일 전후에 거의 폐사함.
– 치료 및 예방
백신 예방이 가장 효과적임- 생후 2-3개월령부터 2회이상 백신 접종.
항생제를 이용한 직접적인 치료약제는 없음.
대증요법 실시, 세균성 호흡기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광범위 항생제 투여
관련제품
항생제 : 시프로틸 50주, 엔프로틸 50주
보조치료제 : 헤파비타 주, 플럭시민 주
소독제 : 터미네이터
|
 |
파라인플루엔자감염증 |
+ |
 |
– 원인체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임.
– 전파경로
비즙, 기침, 객담등에 의한 직간접 접촉, 비말감염, 공기감염에 의한 호흡기 질병
– 증상
40℃전후의 발열, 식욕감퇴, 침흘림, 콧물, 기침, 폐포음의 이상 등 호흡기 증상
혼합감염의 경우 폐사율이 높아지고 임신우는 유산을 유발하기도함.
소 합포체성 폐렴바이러스, 아데로바이러스 7형, 마이코플라즈와 혼합감염시 심한 임상증상 보임.
– 예방 및 치료
특별한 치료제 없음.
예방은 수송 및 방목전에 생백신 접종(어미소 분만 4주전에 접종, 송아지 약 3개월령에 접종하고 매년 보강)
관련제품
* 해열진통제 : 플럭시민 주
* 소독제 : 터미네이터
|